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일용직 주휴수당 조건 계산 총정리

by sky79 2025. 4. 5.
반응형

주휴수당, 나도 받을 수 있을까요? 일용직, 알바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이 명확히 정해져 있습니다.

 

주 15시간 넘게 일했는데도 못 받았다면 지금 바로 아래에서 지급 조건과 계산법을 확인하고,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알아보세요!

 

👉 주휴수당 기준 보기 (고용노동부)


📌 목차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유급휴일 수당입니다.

 

즉, 일주일 개근한 근로자에게 일하지 않아도 하루치 급여를 추가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 유급휴일 보장

 

✔ 일용직, 알바 포함 지급 대상

 

 

2025 주휴수당 지급 조건

 

📌 1주일간 15시간 이상 근무

 

📌 소정 근로일 개근 (근로계약서 기준)

 

즉, 출근하기로 약속한 날 모두 출근해야 주휴수당이 발생합니다.

 

무단결근이나 지각은 제외되며, 정당한 사유 없이 하루라도 결근 시 수당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주휴수당 계산 방법

 

주휴수당 = 1일 평균 근무시간 × 시급

 


예) 주 5일, 하루 3시간 근무 시 → 평균 3시간 × 시급 = 주휴수당


예) 주 4일 8시간 + 1일 3시간 = 총 35시간 → 평균 7시간 × 시급

 

 

2025년 기준 시급:

 

10,030원


→ 하루 8시간 기준 일급은 80,240원이며, 해당 시간만큼 주휴수당이 추가 지급됩니다.

 

 

최저임금과 주휴수당

 

월급제 근로자도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2025년 기준 최저임금 월급 환산액은 2,096,270원입니다.


이보다 낮은 월급을 받고 있다면, 주휴수당이 빠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최저임금 확인하기

 

 

주의사항 및 팁

 

📌 근로계약서는 반드시 작성해야 인정

 

📌 결근 시 주휴수당 미지급

 

📌 무급 휴일은 포함되지 않음

 

📌 단기 아르바이트도 조건만 맞으면 지급 가능

 

 

자주 묻는 질문 (FAQ)

 

Q. 하루 3시간, 주 5일 일하면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

 

A. 네, 총 15시간 이상 근무이므로 주휴수당 대상입니다

 

.

Q. 무단 결근 하루 있으면 어떻게 되나요?

 

A. 개근 요건이 충족되지 않아 해당 주에는 주휴수당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Q. 시급에 주휴수당 포함되어 있나요?

 

A. 시급제의 경우 별도로 지급되며, 월급제는 포함되어야 합니다.

 

 

Q. 계약서를 쓰지 않았는데 받을 수 있나요?

 

A. 현실적으론 어렵지만, 증빙자료가 있다면 노동청을 통해 청구 가능합니다.

 

 

Q. 주말에만 일하는 알바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

 

A. 주 15시간 이상 일하고 개근했다면 가능합니다.

 

 

일용직, 알바라고 해서 권리를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내가 받을 수 있는 수당은 꼭 챙겨야겠죠?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정당한 권리를 행사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