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대출 심사에서 가장 중요한 수치가 뭘까요? 바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입니다.
대출 심사를 앞두고 DSR 계산 안 해봤다면, 거절당할 확률이 꽤 높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왜 DSR이 중요한지, 그리고 자동으로 정확히 계산하는 방법까지 모두 준비했습니다.
📌 목차
1. DSR이란? 꼭 계산해야 할 이유
2. DSR 자동 계산하는 3가지 방법
3. DSR 수치에 따라 대출 가능성 달라진다?
4. 높은 DSR 낮추는 방법은?
5. 대출 전 반드시 해야 할 체크리스트
1. DSR이란? 꼭 계산해야 할 이유
DSR은 내가 연 소득 대비 대출 상환을 얼마나 하는지를 나타내는 '대출 가능성 지표'입니다.
DSR(Debt Service Ratio)은 내가 1년 동안 상환해야 하는 대출 원리금 총액이 연 소득에서 얼마나 차지하는지를 계산한 비율이에요.
예) 연소득 5천만 원, 연간 상환금액 2천만 원 → DSR 40%
이 수치가 높을수록 은행 입장에선 '이 사람은 대출 상환 여력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게 됩니다.
2. DSR 자동 계산하는 3가지 방법
복잡한 계산 대신 자동 계산기로 DSR을 간편하게 확인해보세요.
① 금융감독원 ‘파인(FINE)’ 포털
가장 정확하고 공신력 있는 계산 도구. 전체 금융기관의 대출 정보가 반영됩니다.
- 내 돈 관리 > 계좌 한눈에 > 대출 현황 조회
- 공동 인증서 로그인 필요
② 시중은행 DSR 계산기
국민, 신한, 하나, 농협 등 주요 은행에서 제공하나, 해당 은행 대출만 반영됨
③ 대출 비교 플랫폼
핀다, 토스, 뱅크샐러드 등에서 제공. 간편하지만 신뢰도는 참고용 수준
3. DSR 수치에 따라 대출 가능성 달라진다?
DSR 기준에 따라 대출 승인, 거절이 결정됩니다.
DSR 수준 | 대출 가능성 |
---|---|
40% 이하 | 무리 없이 승인 |
40~70% | 일부 금융권 제한 가능 |
70% 초과 | 거의 모든 대출 제한 |
특히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등 주요 상품은 DSR 규제가 매우 강력하게 적용됩니다.
4. 높은 DSR 낮추는 방법은?
DSR을 낮추면 더 좋은 조건의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고금리 대출 먼저 상환
2. 대출 통합으로 원리금 부담 분산
3. 카드 사용 계획적으로 → 신용점수 상승
4. 금리 인하 요구권 적극 활용
5. 대출 전 반드시 해야 할 체크리스트
내 대출 계획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준비입니다.
✅ 내 연소득과 총 대출 상황 정리
✅ 공신력 있는 DSR 계산기로 수치 확인
✅ 신용점수 이상 유지는 필수
✅ 무분별한 대출은 절대 NO!